IT/NAS

Xpenology DSM 6 설치

LBK 2016. 11. 7. 20:20

- 제 시스템은 HP ProLiant MicroServer G7 N54L 입니다. 

- 주된 용도 자체가 파일 저장, 음악 서버, 메일 서버등 개인적인 용도로 주로 사용합니다.

- 고로 자신의 서버는 자신의 용도에 맞게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본 글은 H54L에 맞춰져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본 설치법은 네이티브 방식이면 가상머신에 올리시는 분들을 위한 설명은 없습니다.(가상머신을 사용안하거든요;;)


------------


준비물 : 서버용 PC, *USB, HDD

* USB의 경우 실질적으로 필요한 용량은 50메가도 안됩니다. 그냥 굴러먹던거나 가장 저렴하고 크기/용량 작은거 구매하시면 됩니다.


▶ 설치에 필요한 파일


Disk Imager : 

Win32DiskImager.zip


부팅로더 :  

다운로드


USB뷰어 :  

usbview.exe


DSM 6.0 파일 :

다운로드


Synology Assistant :

다운로드




▶ 설치하기

1) 우선 부팅로더를 다운 받습니다. 위 링크 따라 가시면 V1.0과 V1.01 폳더 2개가 보일껍니다. 1.01에 들어가서보면 

DS3615xs 6.0.2 Jun's Mod V1.01.zip 다운 받아 임의 폴더에 풉니다. 그러면 ds3615 파일 2개와 Synoboot 파일 2개가 풀립니다. 


2) USB를 PC에 꼽고 위의 Disk imager를 다운받아 대충 아무대나 풀고 실행합니다. 



실행하면 요딴게 뜰껍니다. 거기서 Device에서 자신의 USB 드라이브를 선택하시고 조기 폴더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폴더 아이콘을 클릭하면 요딴게 또 뜹니다. 아까 위에 부팅로더 파일 받아둔 폴더를 선택해서 가보면 synoboot.img 파일이 있을껍니다. 그걸 선택하고 Open을 클릭합니다.



Write를 클릭하면 순식간에 설치가 됩니다. 그러면 1차 준비가 끝난겁니다. 



3) 자 설치용 USB는 만들어졌습니다. USB를 뽑지 말고 그 상태에서 위에서 다운받은 usbviewer.exe를 실행합니다. 


좌측 화면에서 USB 메모리 포트를 찾습니다. 제조사 명이 나오는경우도 있고 저처럼 USB 대용량 저장 장치라고 나오기도 합니다. 여하튼 USB 메모리를 찾아서 클릭하면 우측 화면에 정보가 표시됩니다. 그중에 필요한것은 idVendor 값과 idProduct 값 2개 입니다. 저같은경우 0x090C와 0x1000 이겠네요.


이 두값을 따로 메모해 둡니다. 


4) USB 드라이버에 들어가셔서 보시면 폴더 3개가 보일텐데 grub 폴더 안에 있는 grub.cfg 를 찾아서 에이터 프로그램을 엽니다. (윈도우 기본 에디터인 메모장으로 여시면 이상하게 나오므로 되도록이면 워드패드로 여시거나 다른 전문 에이터 프로그램으로 여세요. 


에디터로 여셨으면 중간에 set vid= 와 set pid= 가 보이실껍니다. set vid에는 idVendor 값을, set pid에는 idPriduct 값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약간 아래로 내려와 보시면 SataPortMap=1 이라고 있을껍니다. 자신의 하드 숫자인데요. 저같은 경우 4개이기때문에 4라고 바꾸었습니다.


시리얼과 맥어드레스는 안건딜어여 될꺼 같습니다만 바꾸고 싶은분들은 아래 사이트에서 생성하시어 적용하시면 됩니다만 맥어드레스 교체를 하실줄 모르시면 시리얼만 바꾸시고 맥어드레스는 그냥 내비두셔도 될꺼 같습니다. 


시리얼/맥어드레스 생성사이트 



5) 이제 마지막입니다. 열려있는 grub.cfg 파일에서 아래로 쭈욱~ 내려보시면 menuentry 라는것들이 여러개 보이실껍니다. 인텔 유저라면 수정할 필요 없지만 AMD 유저라면 menuentry 5개 목록중 필요한건 당연히 AMD 뿐이겠지요?


}


menuentry "DS3615xs 6.02 Baremetal AMD $VERSION" --class os {

        set img=/image/DS3615xs

        set zImage=bzImage

        savedefault

        loadlinux 3615 usb

        loadinitrd

        showtips


이 부분을 menuentry 맨 처음으로 올려 놓으시거나 이 부분을 제외한 다른것들은 지워 버리시면 됩니다. 


이 부분을 수정 안하시면 부팅시 AMD를 선택해 줘야하는데 선택 메뉴가 안뜨는경우도 있고 모니터랑 키보드를 연결해서 설정하셔야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자.. 이제 grub.cfg를 저장하고 닫습니다.


6) USB를 설치하고자 하는 서버PC에 꼽고 부팅을 합니다. 20~30초 정도 시간이 지난후에 Synology Assistant 실행해 주시면 자신의 서버가 목록에 나올겁니다. 더블 클릭하시면 DSM 웹페이지가 뜨는걸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 당연한 말입니다만... 부팅순서 1번이 USB로 되어 있어야합니다;;;;


▶ DSM 설정하기

정상적인 설정 화면이 떴다면 DiskStation Manager(DSM) 설치 화면에서 "찾아보기"를 눌러 위에 받아논 "DSM 6.0 파일"인 DSM_DS3615xs_8451.pat 선택하셔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 부분은 굳이 설명이 필요 없을정도로 쉬운거라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 DSM 6.0 이후 ssh 접속시 root권한 얻는 법이 달라졌습니다. 5.X에서는 root로 접속하면 되었지만 바뀌었네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 


http://blog.iroot.kr/75


 ▶ ▶ ▶ ▶ ▶ ▶ ▶ ▶ ▶ ▶ ▶ ▶ ▶ ▶ ▶ 

'IT > N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XPEnology 준비를 간편하게 XPEnology Tool  (0) 2018.11.12
N54L DSM 6.X WOL 사용하기  (0) 2018.11.10
Xpenology 인덱스 문제 해결 방법  (0) 2016.11.25